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79

매년 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하는 달 매년 5월은 종합소득세를 신고하는 달입니다. 오늘은 종합소득세신고대상 그리고 종합소득세신고기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종합소득세 신고대상★ 요즘 N잡러다 뭐다해서 부업을 하시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아마 직장 외 부수입이 많으신 분들이 많을 텐데요.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자인지 아닌지 잘 모르시는 분들도 많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어떤 분들이 신고대상인건지, 또 어떤 경우에 종합소득세를 신고하지 않아도 되는지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투잡을 하고 있는 직장인이라면, 한 번쯤은 신고대상자인지를 확인해보세요. 하지만 무조건 투잡이라고 해서 모든 사람이 다 종합소득세를 신고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 종합소득세를 신고해야 할 대상은 어떻게 될까요? ​① 직장을 다니면서 사업자 등록증을 보유하고 가게를 운영.. 다다가 알려주는/각종정보 2023. 4. 9.
계피의 효능 계피는 특유의 향과 맛 덕분에 호불호가 갈리는 음식 중 하나죠. 하지만 우리 몸에 좋은 성분들이 많이 들어있어서 약재로도 쓰이는 아주 고마운 식물입니다. 계피는 세계 3대 향신료 중 하나로 꼽힐 만큼 다양한 곳에 쓰이고 있고,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식재료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이 계피가 우리 몸에 어떻게 좋은지 알아볼까요? ★계피의 효능 1. 생리통을 완화시켜 줍니다. 계피는 따뜻한 성질로 비타민B, 인, 철 등이 함유가 되어있고 각종 여성질환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합니다. 또한 여성의 아랫배가 차서 생긴 생리통이나 생리 불순에도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2. 혈관건강에 좋습니다. 계피에는 폴리페놀이라는 항산화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폴리페놀은 혈관청소부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혈액순환을 .. 건강이 최고다다 2023. 2. 14.
능이버섯의 효능 능이버섯은 향버섯이라는 별명답게 독특한 향과 맛을 자랑하는데요, 특히 가을에만 채취가능하기 때문에 더욱 귀한 버섯입니다. 이 능이버섯은 인공재배가 되지 않아서 자연산으로만 먹을 수 있어서 귀한데요, 그렇다면 왜 이렇게 비싼 걸까요? 지금부터 능이버섯의 효능에 대해 알아볼게요. ★자연산 능이버섯 VS 재배 능이버섯우선 능이버섯은 앞서 말씀드린것처럼 인공재배가 불가능해서 자연산으로만 섭취가 가능하다는 점 알고 계시죠? 그래서 값이 비싸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강원도와 경북지역에서 주로 생산되고 있고, 최근에는 중국산도 많이 수입되고 있다고 해요. 그렇기 때문에 국산이냐 수입산이냐에 따라서 품질차이가 크지는 않아요. 다만 국내산보다는 중국산이 조금 더 저렴하답니다.  ★능이버섯의 효능1.항암효과능이버섯이.. 건강이 최고다다 2023. 2. 12.
레디시의 효능 레디쉬의 효능 한국에서는 보통 빨간 무라고 불리는 레디쉬는 샐러드나 물김치용으로 주로 쓰인다. 일반 무보다 당도가 높고 매운맛이 덜해서 생으로 먹기도 한다. 또한 비타민C 함량이 매우 높아 겨울철 감기 예방 식품으로도 좋다. 서양에서는 빨간색 뿌리채소라는 뜻으로 레드 비트라고도 불린다. 국내에서도 웰빙 열풍 이후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여 재배면적이 확대되고 있으며 대형마트 및 온라인 쇼핑몰로도 쉽게 구매할 수 있다. 그렇다면 맛도 좋고 건강에도 좋은 레디쉬의 효능으로는 무엇이 있을까? 혈관 질환 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준다. 따라서 고혈압이나 동맥경화 등 각종 성인병 예방에 도움이 된다. 면역력 증진에 뛰어나다. 항산화 작용을 하는 베타시아닌 성분이 풍.. 건강이 최고다다 2023. 2. 8.
2023년에 확 바뀌는 실업급여 2023년에 확 바뀌는 실업급여 코로나 시대가 점점 끝나가는 이 상황에 현 정부에서는 실업급여로 인한 과도한 지출을 줄이겠다는 방침을 밝혔습니다. 저는 당연히 해야할 방침이라고 봅니다. 정말 어려운 사람들에게는 도움이 되었지만 잔머리를 굴려 반복적으로 편안하게 실업급여를 타 먹었던 사람들도 있었으니까요. 그래서 2023년부터 달라지는 실업급여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1. 반복&장기 수급자는 재취업활동 최소 횟수 요건이 강화된다. >반복 수급자 : 이직일 기준 5년간 3회 이상 수급 >장기 수급자 : 소정급여일수 210일 이상 >>1~3차 실업인정일까지는 4주에 1회, 4차 실업인정일부터는 최소 4주에 2회 구직활동 필수 2. 반복수급자의 재취업활동은 구직활동 (입사지원)으로만 제한 > 앞으로 어학 관련 학.. 다다가 알려주는/생활정보 2023. 2.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