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학이란?

공부다다 2022. 3. 23.
반응형

국어사전

경제학이란?

 

 경제학의 정의는 경제학의 계보(系譜)에 따라 달리할 수 있겠지만, 인간의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이 항상 제한되어 있다는 사실(자원의 희소성)에 직면하여, 그 제한된 수단을 가장 유효하게 활용하고자 선택을 하는 과정에서 인적 및 물적 자원이 어떻게 배분되고 소득이 어떻게 처리되는가를 관찰함으로써 이들에 관한 일반적인 법칙을 구명하며, 그 자원의 배분 과정에서 야기되는 경제적·사회적 문제를 적절히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고자 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네O버 지식백과] 경제학 [economics, 經濟學]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경제학이라는 용어의 뜻 백과사전에 있는 뜻은 너무 어렵네요.

 

 경제학은 다양한 모형들을 만들어 현실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모형들이 합쳐져서 하나의 개념을 형성한 것이 경제이론이다.
                                                                               나무위키 사이트

 

 

어느 책에서 봤는데요.

 "간단히 다양한 사람이나 조직이 시장에서 재화나 서비스 그리고 돈을 서로 교환하는 행동을 어떤 가설을 기초로 모델화해서 간단하게 이론적으로 설명하려고 하는 학문" 이라고 합니다. 

 경제학에서는 인간이 항상 손익을 생각해서 더 나은 선택을 하려고 행동한다고 가정을 한다고 합니다.

항상 손익을 생각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사회활동은 항상 경제적인 측면을 생각한 행동이라고 생각하면 된다고 합니다.

 경제적인 측면을 생각한 행동이란 합리적인 것인데 그것을 최적화 행동이라고 합니다.

최적화 행동은 어떤 경제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주어진 조건 속에서 가장 이익이 되는 방법을 선택 하는 것입니다.

 

경제활동을 분석할 때에는 경제활동을 하는 주체의 행동에 몇가지 전제조건을 둡니다.

1. 주체는 경제활동의 목적이 무엇인지를 제대로 알고 있다.
2. 주체는 각각의 목적에 대한 중요성을 바르게 이해하고 제대로 우선순위를 매길 수 있다.

이때에는 주체가 스스로 행동을 해야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경제행동을 할 수 있습니다.

 

주체가 의사결정을 할 때 중요한 것이 경제적 유인인데 이를 인센티브라고 합니다.

ex) 회사의 직원들은 월급이 오르면 더 열심히 일을 한다.

    이 때 월급이 '경제적 유인'입니다.

 

 

기업에서는 반드시 수지타산이 맞아야 고용을 할 수 있는데 이때 수지타산이 '경제적 유인'입니다.

 

수지타산을 채산성(採算性)이라고도 한다.

 

 

 

 

 

 

다다의 오늘의 경제학공부 끄읏♥

반응형

'다다가 관심있는 > 경제를알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이란?  (0) 2022.03.27

댓글